한국의 가족제도-옥탁
(2010-05-14 16:21:37)
转载原文 标签: 分类: 关于韩国的那些事儿
转载
原文地址:한국의 가족제도-옥탁作者:又见煜卓
가정이라 부부를 핵으로 한 가족 공동체이다. 애정에 의하여 부부가 맺어지고, 아이를 낳아 애정이 발전하고, 부모와 자녀, 형제 자매사이의 관계에서 가족간의 사랑이 생겨난다.
한 가정의 가장 기본적이며 중심이 되는 관계는 부부 관계는 부부 관계이며, 그 관계속에서도 남편은 가정의 머리미며 지도자로서 의로운 권위와 책임을 다해야 하는 가정 관리자이다.
가정에서 아내의 역할과 책임을 한 마디로 말한다면 아내는 남편과 함께 좋은 가정을 이루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부모가 자녀에세 대하여 갖는 책임은 크게 생산자, 양육 및 교육자, 보호자, 후원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부모의 헌신적인 사랑과 보호와 양육을 받으며 자라가는 자녀들이 가정 안에서, 특히 부모에 대해 수행해야 할 역할과 책임은 실로 중요하며 절대적인 것이다. 자녀가 부모를 공경해야 하고 봉양해야 한다.
조부, 조모는 가족의 조정자로서 가족간의 유대와 끈끈한 사랑을 연속하는 사람이다.
가정에 있어서의 사랑은 다른 사회에서는 맛볼 수 없는 독특한 사랑이다. 부부와 자녀, 그리고 형제간의 사랑은 서로 통제하고 제약하나 이에 대하여 불편하다든가 부당하다든가 하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부모는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 시킬 의무가 있지만, 이것을 의무로 하기보다는 사랑으로 하므로 어떤 불편도 느끼지 않고, 자녀는 부모에게 복종하고 그 부모를 돌보아야 하나 그것이 부당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가족간의 사랑은 타산적이 아니다. 서로 의지하므로 정신적이든 물질저이든 무엇이든 주기를 아까워하지 않는다. 부모는 무엇이나 자녀에게 주고 싶어하고, 형제간에는 서로 네 것 내 것 구별하지 않는다.
또 가족간에는 비합리적으로 행동해도 이해가 된다. 밖에서는 이치를 따지며 사는 사람도 가정에서는 별로 그런 것에 신경 쓰지 않는다. 가족간의 친함이 그런 합리성을 생각하지 않게 할 것이다.
가정은 이렇게 다른 어는 집단에서도 찾을 수 없는 사랑이 바탕이 되고 있기 때문에 건전하게 발전될 수도 있지만 잘못하다가는 그롯된 방향으로 나가기도 쉽다. 만일 가족종의 한 사람이 정의감이나 진실성이 없다면, 더구나 그것이 그 가정에 영향력이 있는 가장이라면, 그 가족 전체는 그릇된 방향으로 나갈 위험도 있다. 가족이 서로 믿고 사랑하다가 보면 경우에 따라서 해야 할 정당한 비판 능력을 잃을 때도 있기 때문이다.
가정은 신뢰 속에서 대화를 나누며 긴장을 푸는 곳이다. 그러한 분위기에서 부모나 자녀가 자신의 문제에 대해서 솔직하게 의논하고 귀를 기울에 줄 떼, 그들은 서로 단단한 울타리 안에 들어 있음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한국사회가 현대 산업사회로 발전하면서 가족제도 또한 전통적인 재가족 제도에서 핵가족 제도로 바뀌게 되았다.
핵가족 제도라 함은 가장인 남편,가정을 지키는 아내, 그리고 소수의 자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전통적인 가족제도이라고 생각해 온 3대 이상이 함께 사는 가족은 점차가 그 수가 적어제서 열 가구 중 한 가구 정도에 그치고 한 세대 또는 두 세대 가족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또 나중에는 가족의 향태가 어떻게 바뀔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이렇게 가족제도가 바뀌어 오면서 몇 가지 두드러진 현상이 나타났다.
그 하나는 어른을 모시고 사는 가족이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옛날엔 장남이 으레 부모를 모시고 사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요즘은 장남이라 해도 이런 저런 구실로 분가하여 살고 있다. 제가 보기에 노부모의 부양 책임을 아들, 딸 모두에게 지고 노부모도 스스로 자립해야 한다.
다른 하나는 교육받은 여성들의 사회참여로 가족관계에 변화가 생겼다는 사실이다. 이같은 변화에 따라 남자의 권위가 떨어지고, 남자와 여자의 권위가 동등하게 인정되면서, 여성만의 책임으로 여겨졌던 집안일이나 자녀교육이 남녀 공동의 책임이 되거나 사회기능으로 돌려지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대가족 제도 속에서 자연스럽게 지켜지던 노부모 부양문제가 현대사회에서는 노인의 소외문제로 바뀌게 되었고 전통적인 가정에서는 찾기 어려웠던 이혼이나 재혼문제가 대두되었다.
물론 가족제도의 변화는 이런 여러가지 문제만을 가져온 게 아니라, 장점들도 많이 가지고 있다.
가족제도의 변화속에서 한국사회의 이모 저모를 볼 수 있다. 전통적이고 현대적인 한국은 나중에도 청사진이 있으리라 믿는다.
因篇幅问题不能全部显示,请点此查看更多更全内容